『미술관에 간 해부학자』가 출간 4년 만에 개정증보판으로 새롭게 돌아왔습니다. 이 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수과학도서’, 문화체육관광부 ‘세종도서’, 서울대 영재교육원과 행복한아침독서 ‘추천도서’ 등으로 선정되며, 의학과 예술, 인문학을 융합한 대표 도서로 자리매김했어요.
특히 의과대학 진학을 꿈꾸는 학생들 사이에서는 MMI 면접 준비, 자기소개서, 논술 대비를 위한 필독서로 널리 읽히고 있습니다.
- 저자
- 이재호
- 출판
- 어바웃어북
- 출판일
- 2025.06.09
스페셜 에디션: Anatomy & Architecture
이번 개정증보판에서는 권말 특집으로 ‘Anatomy & Architecture’를 새롭게 수록했습니다. 세계적인 건축가 안토니 가우디의 작품 속에 담긴 해부학적 영감을 집중 조명하죠. 저자는 직접 바르셀로나의 카사 바트요, 구엘 공원 등을 찾아가 건축물의 구조를 탐사하며, 인체공학과 건축역학이 교차하는 지점을 치밀하게 분석했어요.
예술가의 눈과 해부학자의 시선
가우디를 비롯한 예술가들은 해부학자 못지않게 인체에 천착했고, 그 탐구의 흔적은 고스란히 작품 속에 녹아들어 있어요. 베르메르가 그린 『우유 따르는 여인』의 위팔노근, 보티첼리의 『봄』에 숨어 있는 허파, 다비드의 『호라티우스 형제의 맹세』에 나타난 두렁정맥, 라이몬디의 『파리스의 심판』에 그려진 볼기근까지—작품을 해부학자의 눈으로 보면 인체의 근육, 뼈, 혈관, 장기들이 눈에 들어옵니다.
이 책은 미술관에 걸린 명작들을 또 하나의 카데바, 즉 해부 대상이자 인체를 이해하는 실물 교재로 바라봅니다.
인체 기관에 깃든 이야기
인체 구조물 중에는 림프, 승모관, 라비린토스, 견치처럼 그 명칭의 유래가 신화 속 인물이나 형상에서 비롯된 것들이 많아요. 이런 배경 지식을 통해 해부학이 단지 의학의 영역을 넘어, 신화, 종교, 역사와도 맞닿아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런 점에서 미술 작품은 단순한 감상의 대상이 아니라 해부학을 쉽고 재미있게 풀어내는 최고의 교과서 역할을 해요. 작품을 통해 우리는 평소에는 지나쳤던 인체의 복잡하고 아름다운 구조를 새롭게 바라볼 수 있죠.
전 세계의 미술관은 이제 포르말린 냄새 없이 인체를 탐험할 수 있는 해부학 교실이 되어가고 있어요. 예술가들이 집요하게 파고든 인간의 몸, 그 치열한 탐구의 흔적은 작품 한 점 한 점을 통해 독자에게 전달됩니다. 『미술관에 간 해부학자』는 예술을 통해 인체를 읽는 새로운 방식의 인문 교양서로, 독자에게 인체 탐험의 흥미로운 여정을 선사할 거예요.
목차
머리말 _ 해부학 발전의 숨은 공로자는 예술가들이다!
Chapter 1. 해부학으로 푸는 그림 속 미스터리
01. 미켈란젤로가 그림 속에 숨겨놓은 뇌 해부도를 찾아서
02. 부패한 시체 옆에서 펜을 든 남자
03. 메멘토 모리(Memento Mori)
04. 개 같은 철학자와 송곳니
05. 우리 몸을 수호하는 물의 정령 ‘림프’
06. 방패에서 배꼽으로 옮겨온 메두사의 머리
07. 폐에 사무친 보티첼리의 사랑
08. 인상을 좌우하는 얼굴의 마름모
09. 죽음을 불사한 전사들의 다부진 근육
10. 척추에 스며든 환희와 비애
Chapter 2. 명화에서 찾은 인체 지도
11. 생과 사를 가르는 크로노스의 낫
12. 아버지를 부정하고 발전한 해부학
13. 가슴 없는 여성, 아마존
14. 오스트리아 황후 살해 사건의 숨겨진 공범
15. 당신의 눈동자에 건배를!
16. 볼 수 없음을 그리다
17. 몸의 균형을 좌우하는 사과 한 알
18. ‘스타 초상화가’가 잘못 들어 올린 근육
19. 가장 보통 존재의 빛나는 아름다움
Chapter 3. 인체에 이름으로 남은 이야기들
20. 몸속에 새겨진 수도사의 상징
21. 불을 훔친 대가로 받은 형벌과 선물
22. 아틀라스가 짊어진 ‘생의 무게’
23. 운명의 소용돌이에 휩쓸려 비틀거린 남자의 발
24. 전쟁과 조화를 모두 품은 손
25. 절대 빠져나올 수 없는 귓속의 미궁
26. 어미의 배를 가르고 태어난 불세출의 제왕
27. 직립보행의 일등공신, 아킬레스건
28. 아라크네가 뇌 속에 친 거미줄
29. 세계를 경악하게 한 라오콘의 근육
30. [스페셜 에디션 : Anatomy & Architecture] 뼛속 깊은 상상력으로 설계한 ‘인체의 집’
작품 찾아보기